월드오브탱크 인벤

월드오브탱크 인벤

로그인하고
출석보상 받으세요!

전차 정보

Object 430

6100000 260000

Obj. 430 중형전차는 T-54를 대체할 목적으로 1953년부터 1957년까지 개발되었다. 소련 당국이 핵무기 공격 생존성과 화력을 갖춘 전차를 요구함에 따라 1961년 해당 기획안은 중단되었고 Object 432를 개발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시제 전차가 여러 대 제작되었다.

전차 단평

장점
- 고연사, 고관통의 100mm 주포
- 매우 낮은 차체로 난전에 강함
- 준수한 기동력
단점
- 낮은 수준의 차체 내구도
- 나쁘진 않지만, 다소 아쉬운 명중률
6.3
/30명
평점주기
탑승 가능한 승무원
지휘관포수조종수장전수
사용 가능한 소모품
수동 소화기자동 소화기소형 구급 상자대형 구급 상자소형 수리 도구대형 수리 도구무기대여 연료추가 전투 식량조속기 제거
배틀티어배틀티어란?
Battle Tiers란?

해당 전차를 타고 전투에 나갔을 때 만날 수 있는 상대편 전차들의 등급

1 2 3 4 5 6 7 8 9 10

Object 430

6100000 260000
탑승 승무원 지휘관포수조종수장전수
배틀 티어 1 2 3 4 5 6 7 8 9 10

선행 전차 및 파생 전차

파생  
선행  
장비와 부품을 선택하여 능력치를 비교해보세요
주포 :: 주포를 선택해주세요 ::
포탑 :: 포탑을 선택해주세요 ::
엔진 :: 엔진을 선택해주세요 ::
현가 :: 현가장치를 선택해주세요 ::
무전 :: 무전기를 선택해주세요 ::

추가 부품

비용 합계

0 0

주포

  • 122 mm D-49
    0
    0

    평균 공격력 : 390
    평균 관통력 : 230 mm
    연사력 : r/m

포탑

  • Object 430B
    0
    0

    장갑 : 248/185/63 mm
    회전 속도 : 40 deg/s
    관측 범위 : 400 m

엔진

  • B-54S
    0
    0

    마력 : 520
    화재 발생 확률: 12%

현가

  • Object 430B
    0
    0

    회전 속도 : 52 deg/s
    한계 중량: 39000 t

무전기

구분 기본상태 커스텀 구분 기본상태 커스텀
본체 관련 주포 관련
내구도 2000HP 2000HP 공격력 390/390/530 390/390/530
무게 제한(kg) 34690/39000kg 34690/39000kg 관통력 230/270/61 mm 230/270/61 mm
마력 520 520 연사속도 r/m r/m
최대속도 55 km/h 55 km/h 정밀도 0.38 m 0.38 m
회전 속도 52 deg/s 52 deg/s 조준시간 2.3 s 2.3 s
차체 장갑 120/80/40mm 120/80/40mm 포 회전 속도 40 deg/s 40 deg/s
포탑 장갑 248/185/63
mm
248/185/63
mm
좌우 포각
관측 범위 400 m 400 m 상하 포각 16/-5 16/-5
신호 거리 760 m 760 m 탄속 850/1050/850 m/s 850/1050/850 m/s
화재율 12% 12% 탄창 수 50 50
Obj. 430B 장갑
Obj. 430B

260000

무기와 전쟁사 게시판에 글을 남겨주세요.
좋은 글은 해당 전차 정보 페이지에 등록되며 채택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드립니다.

[글 쓰러 가기]

나도 한마디

코멘트(87)

살고싶지않다업뎃 안하나여?? 답글신고
멋진말랑이업뎃 이후 9티어로 하향. 머리가 해치 외에는 뚫리지 않는다.

디피엠은 이오공보다 낮다. 그래서 그런지 0.42라는 엄청난 에임에 비해 명중률이 아주 좋은 편.

새로나온지 얼마 안되선지 평딜 2500으로는 노랑 레이팅이 뜬다...
답글신고
Jjcooly개싸움 특화전차. 답글신고
울리히캐슬러동티어 미듐포도 종종팅기는 장갑이 무지좋네요 대신 명중이 후달리긴 하는데 식량, 전우애로 커버가능하군요 답글신고
두린삼신기는 140 62 907 답글신고
Valhalla역티도 티탐도 애매한 중간 머가리. 이거 팔고 4302 다시 사서 타보니 4302가 훨씬 재미있습니다. 답글신고
TiTans삼신기 다 소지 하였는데 유독 애착이 갑니다
특히 마우스만 보면 엘크타듯이 주차해서 성작 박아주면 좋아합니다
답글신고
연애못한법사탱창들이 430을 꺼리는 이유는, 큰 후라이팬하고 작은 후라이팬 트리가
너무 힘들기 때문이다. 그리고, 승무원 스킬상태에 따른
성능 차이가 심하다는 것도 있다.
왠만한 도전정신 끊기 아니면, 140, 62A 가는게 정신건강에 좋다...

그래도, 포 죽이고
차체 낮아서 육덕 헤비들 가지고 놀 수 있다는 점
준수한 장갑으로 8티 더러운 경전들한테 뺑뺑이 당할일 적다는 점
위장 좋아서 위장 스킬업하면 후반에 시야플레이로 역전 할 수 있다는 점

장점이 너무 많다...
답글신고
커헉쿨럭정확도를 위장으로 커버(후반에 매우 유용)
근접전에서는 강력한 차체상판과 단단한 머리로 도탄을 내고 비교불가능한 화력을 적을 녹이는 전차.
답글신고
우라라라라1단거리 난전용 전차. 바샷하다가 이놈 가까이서 마주치면 순간 심장이 벌컥... 걍 gg...단거리 난전에서 이놈 이길 전차없음. 근데 중장거리에선 떼유기나 140에비해서 확실히 분산도가 크고 명중률이 좀 떨어지는게 확 체감됨. 답글신고
아뭘지어140이나 류기와는 다른 전면장갑의 구조가 달라서 그런지 전티어 처럼 동티어 미듐에 비해 차체가 낮아서 그런지 뭔가 뚤려야 정상아닌가 싶은거도 도탄이 납니다 너무 신기해요 말이 탄이 막 탄이 증발한다거나 그런건 잘없는거같아요 이땅쿠의 강점은 역시 인파이팅아닌가 싶습니다.
빠른 장전속도와 준수한 장갑덕에 탄은 탄대로 팅구면서 빠르게 대충대충 쏴도 잘 맞추는 점이 너무 마음에듭니다.
그리고 밑에분들 말하시는것처럼 이상하게 클립포들상대로 도탄을 유난히 잘냅니다.
정말이예요
트리 자체가 너무 비인기라 그런지 저평가받는거 같아요 416 스톡까지만 참으면 이 트리가 좋다 생각들지 않을까 싶네요
답글신고
달과사냥상대팀과 멀어지만 멀어질수록 불리... 그러나 상대팀과 붙으면 붙을수록 다 씹어머금... 10m~20m초근접전 거리에서 최강자 따라올자가 그 누구냐 답글신고
Geniusdave트리구조가 거시기해서 인기를 잃어버린 숨은 최강의 미듐... 답글신고
개장판140과 똑같은 플레이를 해도 평딜이 300정도, 탄한발정도 차이나는 기묘한 땅꾸 답글신고
악몽의하루바샷 하드카운터입니다 진짜로. 만약 적 바샷이 혼자있다면 들이대서 그냥 잡아 버리세요. 그것만으로도 팀 밥값 한겁니다. 타 소미듐으로 바샷한테 들이대면 한클립 맞고 뒈지는데 얘는 차체장갑이 좋아서 그런가 바샷 탄 중에 1~2발 도탄을 자주 냅니다 그러고나면 이제 그냥 DPM으로 밀어붙이면 끝. 다만 주포 신뢰도가 영.... 일반적인 소미듐 명중률 기대하지 마시고... 음... 거의 프랑스급이라고 해야하나... 에임 벌어져있으면 거의 안맞습니다 주의. 답글신고
Fond투표중입니다. 이 탱크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이 탱크에 투표하세요 ㅋ
http://forum.worldoftanks.kr/index.php?/topic/32431-10월-10단계-꿈★은-이루어진다-후보-설문조사/
답글신고
신촌멋쟁이바샷 킬러라고 불러주고 싶네요~^^
140보다는 좋지는 않지만
더 재미있는거 같네요
단 명중률이 안좋아 짱날때가 많음 ㅎㅎ
답글신고
나이소416에서 4302 54를 뽑고 그 뒤에 430과 140을 뽑았습니다.
그 둘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430의 장점.
1. 전우애+환풍기 5.28초 재장전의 DPM(140 5.45초) 이게 몇초차이 아닌거 같아도 동시에 쏴서 적탄을 한발 튕기고 나는 박았을때 한발을 더 박고 뺄수 있다는겁니다. 그럼 벌써 600딜이 차이나죠.
2. 역티가 좋습니다. 구경우세 판단을 받아 뚤리는 경우가 있으나 이것은 미듐이 헤비를 따라할때나 일어나는 일이고 미듐의 미친듯한 움직임을 보일때 효율이 극대화 됩니다. 특히 적의 포가 발사된것을 보고 전차를 적당히 비틀어주면 몸맞으면 팅기고 궤도 맞으면 씹힙니다.
흡수가 아니고 도탄이 일어날떄가 많습니다.
3. 위장력과 크기소미듐 최강 위장력입니다. 바샷보다 위장이 더 좋고 크기도 더 작습니다. 430트리가 계속 위장이 좋기 때문에 보통 3스킬이에 위장을 찍고 올라오는데 430 탈때쯤 위장이 100%가 되게 됩니다. 위장이 있고 없고는 엄청난 차이를 보입니다. 140은 걸리는 자리를 430은 가끔씩 안걸릴때가 있습니다.
4.뛰어난 근접난전.. 몇분이 개싸움하면 안되는 전차라 써놓으셨는데 이놈은 혼자 남은 전차한테는 사신입니다. 헤비나 구축같은경우 딱 붙어서 평행으로 포탑만 돌려놓고 앞으로 왔다리 같다리 하던지 꽁무니에 붙어서 쏘면 목도리들도 답이 없습니다. 차체가 워낙 낮기 떄문에포탑만 쏴야 되는데 이놈 포탑 방어력이 240입니다.정가운데 탈모가 있지만 왔다리갔다리 하는 중형 움직임에 제대로 쏠수 있는 탱크가 몇이나 있을까요. 바샷 같은경우 뒤에서 난입했을때경우에는 붙어버리면 거의 모든탄을 튕기고 도망가느라 바쁩니다.. 그래서 바샷 잘하시는 분들은 430으로 난입했을때 궤도부터 끊어버리고 요리하시고 튀어버리시더군요..

단점
1. 빌어먹을 명중률.. 이놈 정확도가 0.38 입니다.. 어느정도 저격은 가능하겠으나 약빨은 날은 겁나기 튀어됩니다... 물론 스펙은 이렇게 써있지만 스티비원보다는 잘맞는 느낌이구요..(소련버프) . 저격도 2선플레이도 아닌 애매한 플레이를 해야합니다.. 140타다보면 느끼는 박탈감은 이 명중률에 있습니다. 430으로 기동사격 3번만 맞추면 환호성이 나오죠..4302를 타시고 올라왔다면 적응 하셨을 수도 있겠지만 왠만하면 서서 에임을 다 쪼으시고 쏘시길 바랍니다..
2. 모듈손상
배때기 맞으면 탄약고 나가가거나 불납니다. 최대한 안맞는 플레이를 하세요.. 정면 맞을것 같다 싶으면 차체를 돌려서 차라리 옆면을 주세요 그럼 생각보다 잘 튕겨냅니다??
3. 포탑위치
430라인자체가 후방포탑 라인이였기때문에 430은 포탑이 탱크 정중앙에 있습니다. (140은 조금 앞쪽) 따라서 쏘러 나갈때 차체 스프라켓 맞을 확률이 높습니다. 너한대 나한대를 조심해서 하시길 바랍니다.
4. 부각
430이 차체가 낮지만 140의 우월한 -6도를 커버하기엔 조금 무리가 있습니다. 가끔씩 140은 떄릴수 있는 자리인데 430이 애매하게 상대밥 포탑상부를 을 가리키게 되면 조금 슬픕니다.

140 430 둘다 있어서 비교하기가 애매한 부분이 많네요 그래도 체감상 140보다는 430이 좀더 단단한 느낌입니다. 140은 그냥 믿고 타는 탱크인데 희안하게 430이 더 재밌는거 같네요..
답글신고
너리언얘가 바샷 하나는 기가 막히게 잘 잡습니다
거의 하드카운터 급
답글신고
악몽의하루이게 뭐라 설명하기가 그런데 바샷 만나면 정말 바샷 하나만큼은 이상하게 잘잡음;;; 신고
악몽의하루모르겟다... 뜬금 차체도탄도 있긴 한데 고관통 난무하는 10탑인지라 차체장갑이 높다해도 그놈이 그놈처럼 느껴지고... 역티 확실히 쓸만하긴 한데 대가리 원형탈모 탈탈털리고... 명중도...ㅋㅋ 그래도 난 잘타고 있는 중. 도탄 전혀 기대안하고 타면 도탄날때 더 재밌고 소미듐특유 작은차체도 내취향 답글신고
사레복이거 타면 탈수록 별로임. 일단 차체 전면 맞으면 화재는 기본에 운전수 가출도 자주 한다... 답글신고
Mica차체 상단 각이 안 좋아 보여도 중형이나 헤비 포 정도는 간간이 튕겨내줘서 높은 생존성을 보여줌...이면 좋겠지만
심한 원형탈모 때문에 머리만 내놓고 있을때도 다른 소련 중형에 비해서 생존성이 떨어짐
더 큰 문제는 차체 정면이 관통당할 때 높은 확률로 화재가 발생한다는 것.
그래서 자동 소화기를 달아줘야 그나마 안심이 되는데 소화기가 소모품 한 칸을 차지함으로써 수리킷 치료킷은 하나씩은 꼭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나로서는 전투 식량을 먹이지 못해 그나마 장점인 dpm도 최대한으로 끌어올리지 못하는 단점도 있었음.
그리고 형편 없는 정확도와 엄청난 포 분산도 때문에 당연히 맞혀야 할 것 같은 상황에서도 어이 없게 빗나가서 이득을 챙기지 못할 경우가 많아 짜증남
답글신고
플미유저이거 중형 맞나 싶을정도로 역티타임이 정말 잘먹히는거 같음. 타보진 않았는데 가끔 상대할때
역티로 탄 씹는거 보면 소름...;
답글신고
Alkania위장이 좋으면 뭐해 명중 구려서 붙어 싸워야 되는데 답글신고
작드이거 예전에 버프먹었다는데 뭐가 버프먹은거죠? 답글신고
씨발월탱장전속도 버프먹었어요 대신 포정확도가 떨어졌죠 지금은 9.38발 per min에 정확도는 0.38이에요 신고
씨발월탱조준시간도 늘어났네요 2.3초에요 신고
고양이냥이얘 부각이 -1아닌가여??? 답글신고
씨발월탱ㄴㄴ 360도 돌리다가 한 10~15도 정도 -1인 구간이 있는것뿐임 신고
카시야스폐셜인파이팅은 진짜 짱인거같다... 50 100 2대 풀피 잡는데 피 700정도 남이고 야근야근 씹어드셨다.. 다만 애 진심 명중률이:; 떼 육이나 140은 잘맞는데 앤 안맞아 장거리전에서 뭐 이따구냐 명중률이 답글신고
달과사냥월탱 중형중에서 최고의 위장력을 자랑하고.. 그리고 초근접전에 최강자입니다. 기냥 다 야금야금 씹어먹습니다. 그러니 중,장거리전 하지마시고 무조건 붙으세요, 붙어서 싸우면 다 씹어먹습니다.초근접전에 아주 특화가된 전차입니다 답글신고
DreadNought중형끼리 근접개싸움할때 레알 단단합니다. 움직임많은 중형근접싸움은 신중한 약점사격보단 재빨리 노리고 쏘는 경향이 많은데 이럴 경우 도탄률이 쩔어줍니다. 최근 패치로 중형중 dpm이 정점이 되기까지. 하지만 명중률 역시 너프받아서 중장거리에선 정확도를 기대하기 힘들며 140만큼 모듈도 상당히 잘 나가기 때문에 운용난이도는 결코 쉽다고 할수는 없습니다 답글신고
Esolesty약팔지마세요;;; 전면부 하단이 120미리라서 120 써있는 것이지 상판은 60~90미리 입니다.
전면 맞고 도탄되는 것 거의 없고 있다 하더라도 중거리 이상에서 티타임 줬을대 이야기 입니다.

포탑또한 스펙상 62보다 좋게 나와있으나 전면부 중 포탑 주위만 그렇고 이마부터 해서 물장에다가 차체가 낮아서 대부분의 전차들이 위에서 꼽을 수 있습니다.

쏘면 다 뚫려요.. 타보시고 이야기하시는지 의문이네요...

근접 개싸움은 대도록 피해야 하며 차라리

바샷보다 우월한 위장력을 이용한 저격 플레이를 해야 합니다.
신고
Esolesty또 전면 상판이 묘하게 숙청 시리즈 흉내내서 경사장갑으로 되어 있어서 티타임 줬는데 이 부분 때리면 답없습니다. 거기 연료통 있어서 맞으면 불나요 신고
DreadNought글쎄요 제가 상대해본 430들이 대부분 엑셀이상이라 그런건지는 몰라도 상당히 까다로운 상대였습니다. 본썹에는 없고 테썹에서 50판정도 타본게 전부라 경험이 부족한건 인정합니다만 상대해본 느낌을 적은것 뿐입니다. 공방에서 잘 안보이는것도 있고 10탑은 만나는사람 또만나는 경우가 많다보니 잘하는유저만 상대해서 그런걸수도 있네요. 근데 저도 엑셀이라 샷빨이 딸리지 않는데 개싸움에선 도탄 심심찮게 나던데요? 물론 골탄쓰면 그딴거없지만 신고
VictoireEsolesty님이나 약팔지 마시죠.
정면 120mm 맞아요.
신고
씨발월탱탱크 인스펙터로 뜯어보니 전면상단 120미리 맞습니다 esolesty 이분 최소 약팔이 신고
안통건역으로 약파네
하마트면 416 풀업해놓고 430트리 포기할뻔햇네 ㅅㅂ
430만바라보고 4302에서 꿀빨고 430에서 근접전최강이래서 옛날에 이트리가고잇엇는데 큰일날뻔
신고
Esolesty에스렌님의 말에 공감합니다.

실제로 몰아보고 느끼는 것이지만 전면부 맞을 경우 불날 확률이 굉장히 높습니다. 절대 정면 맞으면 안되나 현실은 시궁창입니다.

역티 하나 만큼은 끝내줍니다만 그것 뿐입니다. 주포 명중률이 하락하고 대신 장전시간을 주었지만 명중률 감소 패널티를 이길수 없네요...
승무원 100% 전우애 5% 환풍기 5% 식량 10% 하면
장전 5.06s 나옵니다.
그런데 그러면 뭐하나요 중거리전만 되도 제발 맞아라 하고 기도하면서 쏘는데...

쏘고 빠지기에 굉장히 불리해졌습니다.

구축처럼 연달아 저격 하더라도 빗나가는게 많습니다.

여튼 이번 패치 되고 너프된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

리밸런싱 되기 전까지 안탈 생각입니다. 첫 10티어인데 완전 실망 [삭제]
답글신고
Esolesty인파이팅은 꿈도 못꿈니다. 오히려 바샷처럼 숨어다녀야 할 지경입니다. 신고
Esolesty굳이 몰겠다 라고 하시는 분이 있으시다면 정말 클립없는 바샷 모는 기분으로 모셔야 합니다.

다행인지 모르겠으나 역티 하나는 끝내줍니다. 역티 걸시에 못팅기는 탄이 없는 듯...

근접 인파이팅시에는 차체가 낮아서 어느전차를 상대하든 상대가 차체를 위에서 꼽게 됩니다.

그러므로 반듯이 붙어주시고 머리가 뚫리더라도 정면을 내주면 안됩니다. 불나서 타죽기 싫으면

가능하다면 높은 위장력을 이용해서 수풀과 함께 나 한대 넌 못보지롱! 플레이를 하시고 어쩔 수 없이 라인전을 해야 할 시에는 역티를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역티가 불가능한 교전위치에서는 신속히 탈출 하시고 정 안되면 나 한대 니껀 회피 하는게 좋지만 추천드리지않습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게 0.38 명중률로 중장거리전을 해야 하며 인파이팅시에도 정면 머리 다 뚫리기에 이렇다 할 장점은 dpm과 역티 뿐입니다.

140이나 62보다 dpm100 버프되고 명중률 0.03이 너프 된 것은 이건 버프가 가 아니라 너프입니다. 너프...

패치이전이 휠씬 나았습니다.
신고
삭제된 글** 삭제된 글입니다 **
에스렌문제점 1. 밸런스 담당자는 이 전차가 장갑이 좀 되니 근접전용이라고 생각했나본데 소미듐 3형제중 마빡 탈모가 제일 심하고 차체장갑은 경사빨인데 차고가 낮은 점 때문에 근접전시 방어력이 대단히 감소함. 게다가 높은 위장을 생각해보면 완전 미스매치인 주포를 갖게 됨.

문제점 2. 월탱은 허수아비를 맞추는 게임이 아님. 표기 dpm보다 실질적으로 가할 수 있는 dpm이 중요하고 그래서 dpm만 높은 stb-1은 어려운 전차로 취급되는데 9.3에서 바뀐 430은 실제 가할 수 있는 dpm이 미듐 최하위 수준이 됨.
신고
킬비언스9.3 패치때 명중 0.38 대신에 dpm 중형중 1순위 된다는데... 음음 기대중 답글신고
킬비언스인파이팅 최강의 전차가될듯 신고
실버채리엇게임 후반부까지 살아남으면 위장력을 살려야만 할때가 많은데
이때 바샷보다 활약을 더 잘합니다.
초반에 던지는감이 있다면 차라리 140이나 떼류기로 가세요.
430이 다른 소미듐보다 기동사격도,에임성능도 떨어지고 뎀도 떨어집니다.
특히 소미듐들이랑 중거리 교전하면 나만 슝슝 뚫리는게 눈에 보여요
개인적으로 소미듐중에서 운용난이도가 가장 높다고 봅니다.

마스터컷:1200대
답글신고
버디스파이크이넘 패치 후 차체가 커졌나요? 고민되네... 답글신고
체이닝명중 패튼보다 좋구만.... [삭제] 답글신고
할망고히든 스팩인 기동후 정지 에임이 심하게 벌어집니다.
패치후 차체가 커진것도 있습니다.
저는 맘에 안드네요.
답글신고
생율10티어 중 가장 보기 힘든 전차 답글신고
noah1217사람들이 소련중형 비교할때 주포랑 방호력만 보는데 왜 위장률은 안따져보지 답글신고
킬비언스위장이 바샷보다좋다능.. 답글신고
카시야스폐셜요놈이랑 바샷이랑 1:1 싸우는거 봤는데 클립만 꽉차면 미듐 최강에 속하는 바샷이 요놈한테 져버림... 플레이어 실력도 있지만 선회력은 둘이 비슷비슷한데 바샷 6발중 4발은 머리나 차체로 튕겨냄... 다 쏘니 텅빈 깡통이 되버리니 430이 그전부터 천천히 쏘던데 바샷 클립 장전하기전에 죽여버림... 확실히 미듐은 소련인듯... 답글신고
쿵후허슬S바샷 탄다꼽아도 소련미듐안죽습니다..제가 두번이상경험해봤어요 대부분 피 조금남음 ㅋㅋ 신고
두캣선회 10도 차이가 나는데 뭐가 비슷하다는건지 ㅡㅡ 신고
신혜바샷클립 6발이었나..?
과거에서 오신분같은뎅
신고
소주하양바샷 탄은 5발이고 애초에 바샷은 서로 풀피상태에서 1:1 맞짱을 뜨기위한놈이 아님 신고
장딴지곰오사 업글 버전인듯 전체적은 전면 장갑 강화
연사력 관통력 강화 탈모추가?
스펙상으론 그런데
답글신고
스펀지패밀리이전차가 T-64개발전차라며요 ㄷㄷ 답글신고
동대문사시미방금 뽑아서 몇판 타고왔는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거 말고 다른거 타쇼;;T62나 140으로

성능이 구리냐? 그건아니고, 성능면에서는 우수한 편이죠. 다만 문제는 경험치가 T62나 140보다 훨씬 많이 필요하다는거(6만정도 더모아야함)
그렇다고 6만 더 많다고 성능이 앞도적으로 높은가? 그러지 않음....떼육이,140 이랑 비교
했을때, 장갑은 더 우수해졌으나, 요즘같이 구축난무 골탄난무 시대에 체감상 그리 튼튼하게 느껴지지는 않는다는거.거기다 포분산도 너무 크고, 가장 심각한건 각고자 -_-;; 인벤에 써있는 부각 -1도가 맞는 말임, 진심 조금만 굴곡진 언덕 나와도 땅을 못봄. 결론은 그냥 떼육이나 140에 비해 앞도적으로 높지도, 크게 뒤쳐지지도 않는 그저 그런 좋은탱크. 차라리 인파이팅에 극으로 발달된 떼육이나 원활한 미듐플레이가 가능한 140으로 가는게 낳습니다. 이건뭐 그냥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보통 수준...아니, 경험치 6만 더 먹고 들어간거 생각하면 오히려 지뢰라고 봐야죠. 진짜 개고생해서 뽑았는데 ㅜㅜ

결론: 성능 면에서 크게 나쁘지는 않으나, 경험치 26000이 무색해질 정도로 앞도적인 성능은 아니다. 떼육이랑 140경험치가 20000정도인걸 감안했을때 이건 그냥 워게이의 낚시 -_-
차라리 떼육이나 140가셈. 진심으로 하는말입니다
답글신고
동대문사시미위에글 수정. 경험치 26000이 아니라 260000 밑에 20000도 아니라 200000 신고
reviver부각 5도 맞는데여 신고
동대문사시미reviver 그런가여? 체감상 완전 각고자로 느꼈는데
그런 정확한 정보는 어디서 알수있져? 나 완전 바보됬네-_-ㅎ
신고
무슨닉넴요구 총 경험치가 140이 20만 정도 62가 51만, 430이 52만 이니 140에 비해 30만만정도 더 필요하고 62에 비해 1만이네요 훔 결론은 140이 싸군.... 신고
탑건경험치로만 따지면 T-54는 모듈을 올려야하는게 굉장히 많습니다.
그럼거 감안하면 경험치차이는 거진 없습니다.
신고
푸르른곰팡이416트리로 가신분 좋겠습니다...
한번에 3개의 10티어 중형전차로 갈수 있어서
답글신고
Dezoro부각 정말 -1도 인가요? 답글신고
ally사기야.

장갑이두꺼워지면 차체 무게가 증가해서 추중비는 내려가야지 정상인데

62랑 같은 580마력의 엔진 쓰면서 추중비는 더 올라감.??????

심지어 엔진 포탑 현가 등 각 파트도 430이 더 무거운데 말이지..

월탱이 좀 생각이 업이 신규탱크만 더 좋게 만드는 경향이 있어
답글신고
게이밍노트북경사도 ^^ 신고
K12게이밍 노트분/ 경사도 상관없고 일단 수치가 높으니 무거울수밖에 ㅋㅋ 신고
Primarch차체크기는? 신고
saintgram부각좀 빨리 제대로 표시해주세요 현기증 난단말이에요 답글신고
파파루이차체가 도탄 잘나게생겼는데...난 지금 떼오사라는게 문제 답글신고
크노헨소련 미듐 포 분산도 올립니다.

T-62a : 1.19 / 1.31 / 1.9 / 1.7
Obj 140 : 1.4 / 1.4 / 1.51 / 1.54
Obj 430 : 1.4 / 2.24 / 2.55 / 2.7

포격직후 / 포탑회전 / 차체선회 / 최대속력이동
에임분산율입니다.
답글신고
게이밍노트북ㅋㅋㅋㅋ 진짜 노답이네 레오파드급인듯 신고
ally이런 정보는 어디서봐요????? 신고
강한달이백옆에서 부비부비하면 이백은 키보드에서 손뗌.... 답글신고
강한달이백옆에서 부비부비하면 이백은 키보드에서 손뗌.... 답글신고
라프능력치 탭에서 주포가 선택이 안되네요.. 답글신고
자두님일본전차 STB-1의 화려한 조명 뒤에 가려져서 그렇지, 10티어 T-54. 정말 강력한 게임 캐리력을 가진 미듐입니다. 시간이 지나면 이 전차의 우수함을 많은 사람들이 알게 되겠죠. 답글신고
불량짱구부각이 -1도????? 답글신고
리로스팩상으로 기존 소미듐과 비교하자면..
장갑,추중비는 증가했고..
주포의 장전시간,정밀도,조준시간은...너프된것 같네요.
답글신고
불량짱구포는 동일한거아닌가요? 신고
리로주포는 같은것이라도
터랫의 차이로 스팩차이 조금씩 납니다
주포성능은 62>140>430 인듯합니다
신고
DreadNought62 140보다 재장전이랑 조준속도가 떨어집니다. 같은 주포지만.

예술적인 전면경사로 떼오사의 느낌그대로 10티로 온느낌이지만
형제들보다 주포성능이 좀 떨어지므로 중장거리 짤짤이 성능은
약간 떨어집니다. 대신 근접박투나 저티어상대론 좋은 성능이
기대됩니다. 다만 140과 마찬가지로 원형탈모이므로 그점은
주의해야 할 듯 합니다.
신고
바넬내가 왜 떼44트리로 갔을까.. 답글신고

명칭: 주식회사 인벤 | 등록번호: 경기 아51514 |
등록연월일: 2009. 12. 14 | 제호: 인벤(INVEN)

발행인: 박규상 | 편집인: 강민우 |
발행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 9번길 3-4 한국빌딩 3층

발행연월일: 2004 11. 11 |
전화번호: 02 - 6393 - 7700 | E-mail: help@inven.co.kr

인벤의 콘텐츠 및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므로,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Inven.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 신문 위원회 배너

2023.08.26 ~ 2026.08.25

인벤 온라인서비스 운영

(웹진, 커뮤니티, 마켓인벤)